카트 0
2025년 7월 12일

초경량 비행장치의 종류 2015년 4월 6일 – Posted in: 새소식

지적도 담은 드론 방제 관리 드론 방제 어플 바로가기   게시물 출처 : 교통안전공단 > 사업소개 > 안전검사 정보   동력 비행장치 동력 즉 엔진을 이용하여 프로펠러를 회전시켜 추진력을 얻는 비행장치로서 착륙장치가 장착된 고정익 (날개가 움직이지 않는) 비행장치를 말한다.  타면조종형 현재 국내에 가장 많이 있는 종류로서, 자중 (115 Kg) 및 좌석수 (1인승)가 제한되어 있을 뿐 구조적으로 일반 항공기와 거의  같다고 할 수 있으며, 조종면, 동체, 엔진, 착륙장치의 4가지로 이루어져 있다. 타면조종형이라고하는 이유는 주날개 및 꼬  리날개에 있는 조종면…

Continue reading

무인비행장치에 대한 궁금증 해소 Q&A – Posted in: 새소식

    게시물 출처 : 교통안전공단 > 알림센터 > 시험정보   Q1. 무인기는 잘못된 표현이다? A1. Yes (O) ‘무인기’는 법률적 용어는 아닙니다. 「항공법」에 따라 연료를 제외한 자체중량이 150kg 이하인 것은 ‘무인비행장치’로, 150kg을 초과하는 것은 ‘무인항공기’로 부르는 것이 정확한 표현입니다. Q2. 무인비행장치는 구입하자마자 띄워도 된다? A2. No (X) ‘무인비행장치를 구입하면 가장 먼저, 연료를 제외한 자체중량이 12kg을 초과하는 무인비행장치는 관할 지방항공청에 신고를 하고 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안전성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다만 12kg 이하의 비영리 기체는 신고 및 안전성 인증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서울지방항공청…

Continue reading